한국에서 ‘종교가 없다’고 말하는 무종교 인구는 63%에 달한다. 청년 세대의 탈종교화는 74%에 이른다. 청년 세대 10명 중 7명은 종교가 없다는 말이다.
종교에서 이탈한 무종교인 가운데 과거에 개신교인이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49%에 달했다. 절반 정도가 개신교에서 이탈한 셈이다. 이어 천주교 33%, 불교 17% 순이었다.
반면 독실성을 묻는 질문에 관해서는 개신교인의 55%가 ‘독실하다’고 응답해 다른 종교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. 이어 천주교(38%), 불교(33%) 순이었다. 개신교에 실망해 이탈하는 비율도 높고, 독실하게 믿는 경향도 높다는 결과여서 이를 두고 해석이 분분할 것으로 예상된다.
한편 무종교인이 ‘향후 종교를 가질 의향’은 19%에 불과해 탈종교화가 진행 중이란 걸 확인할 수 있었다. 반면 무종교인이 많았지만 ‘한국 사회에서 종교가 미치는 영향력’에 관해서는 우리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이 ‘인정한다’고 응답했다.
기사 : 서울신문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