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뉴스 클릭' 뉴스레터를 통해
하루의 모든 이슈를 한눈에 담아가서
어디서 어떤 사람을 만나든
쉽게 대화할 수 있습니다 |
|
|
“평화세계를 유산으로...
‘평화의 기적’ 위해 인내가 필요한 때”
|
|
|
제9주년 평화만국회의가 18일 시작해 21일까지 열린다. 이 기사에서는 세계평화를 이루기
위해 강단에 선 주요 인사들의 주옥같은 평화 관련 연설을 요약 정리했다.
이중 HWPL 이만희 대표님은 평화, 후대에 줄 유산 평화세계 구축은 사명이라고 말했다.
기사 : 천지일보 |
|
|
‘교황 인연’ 아르헨티나 가수,
임진각서 ‘세계 평화’ 공연
|
|
|
아르헨티나 가수 오디노 파치가 파주 임진각에서 평화 메시지가 담긴 공연을 펼쳐 한반도를 넘어 전 세계에 더 큰 평화가 오기를 염원했다.
이날 아르헨티나에서 40여시간 걸려 공연팀과 함께 내한했다는 오디노 파치아는 “세계평화를 위한 평화 콘서트의 취지가 너무 좋다. 100시간이 걸려도 왔을 것”이라며 “모두 평화로 하나되는 뜻깊은 시간이었다”고 말했다.
기사 : 디스커버리뉴스 |
|
|
오늘의 뉴스 클릭
종교소식
(1) ‘남북통일’ 韓목회자들 염원, 국민보다 월등히 높아… “사역엔 소극적”
사회 이슈
(1) 청주시-국가기록원, 유네스코 국제기록유산센터 운영 협약
(2) 청주시, 내년도 시민참여예산 우선순위 온라인 투표
(3) 정부, 2026년까지 생계급여 선정기준 30%→35% 점진적 확대
|
|
|
‘남북통일’ 韓목회자들 염원,
국민보다 월등히 높아… “사역엔 소극적”
|
|
|
목회데이터연구소가 19일 공개한 ‘한국 기독교 분석 리포트’에 따르면 통일 가능성에 대해 비개신교인은 10명 중 4명 정도(37%) 평신도는 (47%) 정도가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했다.
반면 목회자는 무려 69%가 통일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해 통일에 대한 믿음과 기대가 일반 국민보다 훨씬 높게 조사됐다.
기사 : 천지일보 |
|
|
청주시-국가기록원, 유네스코 국제기록유산센터 운영 협약
|
|
|
청주시와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20일 임시청사 직지실에서 ‘유네스코 국제기록유산센터’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.
유네스코 국제기록유산센터는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875번지 일원에 지하 1층, 지상 4층, 연면적 4,307㎡ 규모로 건립된다. 총 사업비는 218억원으로, 지난 2021년 12월 착공에 들어가 오는 10월 준공해 11월 1일 개관식을 가질 예정이다.
유네스코 국제기록유산센터는 건립 후 세계기록유산 모니터링 체계 개발, 기록유산 전문가 양성, 기록 디지털 플랫폼 구축, 교육 콘텐츠 개발 등 전세계 기록유산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.
기사: 디트24 |
|
|
청주시, 내년도 시민참여예산 우선순위 온라인 투표
|
|
|
충북 청주시는 2024년 시민참여예산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온라인 투표를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.
대상 사업은 △골목길 CCTV 확대 사업 △도시 그늘막 설치 △횡단보도 바닥신호등 설치 △버스정보안내시스템(BIT) 미설치 정류장 추가설치 △공유형 전동 킥보드 주차장 설치 △청주 외곽 버스 운행 확대 △성안길 지하상가를 청소년 여가활동 공간으로 △평생학습 프로그램 저녁반 확대다.
또 △명심산 공원화 사업 △양병산 공원화 사업 △산성옛길 대형 현황판 보완 △원봉1근린공원 흙먼지털이기 설치 △청주시의 새로운 랜드마크, 무심천 공원 조성 △자전거·보행자 전용 도로(아스콘 포장공사) 확보 사업 △문화제조창 자전거 보관대 캐노피 설치 △수영교 하부 방치된 생태습지 복원사업 △용담동 424 일원 보도정비공사도 포함됐다.
오는 25일까지 만 14세 이상 청주시민은 청주시선 홈페이지(siseon.cheongju.go.kr)에서 시민패널로 가입한 뒤 5개 선호사업을 고르면 된다.
시는 온라인 시민투표(40%)와 21일 시민참여예산위원회 총회 투표(60%)를 합산해 내년도 시민참여예산을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.
홈페이지 바로가기
기사: 아주경제 |
|
|
정부, 2026년까지 생계급여 선정기준 30%→35% 점진적 확대
|
|
|
정부가 국민의 최저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지원하는 생계급여의 산정 기준을 완화한다.
정부는 3차 종합계획 기간인 2026년까지 기준 중위소득의 30% 이하인 생계급여 대상자를 35%까지 점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.
우선 내년 생계급여 선정기준을 기준 중위소득의 32%로 상향한다.
이 경우 내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은 1인 가구 기준 월 71만3102원으로 올해(62만3368원)보다 약 9만원 오른다. 4인 가구 기준으로는 내년 월 최대지급액은 183만3572원이다.
소득이 없거나 매우 적지만, 주거나 자동차 등 꼭 필요한 재산으로 인해 생계급여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산 기준도 개선한다.
한편, 정부는 이런 조치 등을 통해 올해 기준 약 159만3000명인 생계급여 수급자수가 2026년엔 180만7000명으로 21만명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.
기사: 투데이플러스 |
|
|
|